정보 | 장애인소비자 피해구제 상담센터 안내
본문
우리동작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는 자립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‘IL정보통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11월 2번째로 [장애인소비자 피해구제 상담센터]에 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.
장애인소비자 피해구제 상담센터는 장애인의 소비피해를 최소화하고 피해구제 사례 공유 및 예방활동과 장애인이 당당한 소비 주체로서 소비 환경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기관입니다.
○이용안내
지원 대상: 장애인소비자 피해구제 상담센터 도움이 필요한 장애인 누구나
지원 내용: 소비재관련 피해 상담접수 및 처리, 장애인소비자 피해 예방교육
○신청방법:
-전화상담: 02-2088-1372
-수어상담: 070-7947-1372
-홈페이지: www.kdccc.or.kr
-카카오톡: "장애인소비자 피해구제 상담센터"
○운영시간: 평일 9:00 - 18:00 (전화 ARS 간편접수시 365일 24시)
○장애인소비자 주요 상담 접수 현황
신체적 장애(지체, 뇌병변 등):
1. 핸드폰, 인터넷, TV 등 명의도용 및 부당가입
2. 인터넷 개인방송 플랫폼 유료 후원아이템 과도 결제
3. 지인, 친구 종용 현금 사기
4. 은행자동화기기 접근성 불편
시각장애:
1. 일반보험, 상조보험 부당 계약 피해
2. 음성 미지원, 점자 미표기로 인한 불편
3. 온라인쇼핑몰 접근성 문제
4. 시각장애인 보조기기 정보제공 문의
청각장애:
1. 가전제품 정보접근의 어려움
2. 시각적 알림 기능의 부재로 인한 불편(예시: 전철/기차역/서비스 등 공공장소 안내방송)
3. 다수 고객센터의 수어통역 미지원으로 인한 소통 및 상담 불가 문제
정신적 장애(정신장애, 지적/발달장애):
1. 핸드폰, 인터넷, TV 등 명의도용 및 부당가입
2. 핸드폰 가입 시 발생되는 현금 갈취 및 기타부가서비스(상조보험 등) 가입발생 피해
3. 부동산, 차량렌트 등 다양한 계약사기 발생
4. 인터넷 개인방송 플랫폼 유료 후원아이템 과도 결제
5. 상품구매 시 하자 및 교환 처리에 대한 어려움
○문의처: 02-2088-1372
사단법인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 장애인소비자 피해구제 상담센터(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 41길 11, 당산 SK V1센터 E동 1906호)
*사진 설명: 화창한 공원에서 남녀가 커피를 마시고 있는 일러스트와 위의 내용이 텍스트로 삽입되어 있음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